New'S/Report

예배후의 예배

톡커 2014. 4. 21. 12:17

예배후의 예배.

 

해피캠퍼스에서 다운로드 받기!!!

http://www.happycampus.com/doc/11638817

 
  • 1
  • 2
  • 3
  • 4
  •  

     

     

     

    소개글

    독서보고,정교회,신학

    목차

    제Ⅰ부- ‘예전 후의 예전’
    1. 예전의 세계
    2.예전 후의 예전
    3.예전에 있어서 에큐메니칼 운동의 방향들
    4.복음과 문화와 예전
    5. 예전과 공동의 그리스도교적 증언
    6.정교의 스펙트럼
    7.선교에 있어서 예전의 역동성

    제 Ⅱ부- 한국정교회의 역사와 선교이해
    1. 간략한 한국정교회 역사

     

    해피캠퍼스에서 다운로드 받기!!!

    http://www.happycampus.com/doc/11638817 

    본문내용

    제Ⅰ부- ‘예전 후의 예전’
    1. 예전의 세계
    ‘예전’이라는 단어(라틴어, liturgia)는 ‘leitos`(`공동의’라는 뜻으로 ‘백성’이라는 뜻을 가진 ‘laos`에서 나옴)와 ’ergon`(일)이라는 단어가 결합되어 파생된 그리스어 ‘리뚜르기아’(leitourgia)로부터 유래되었다. 고대 그리스도교적 예배에서 이 용어는 특별히 주님의 날인 일요일에 지역 교회가 사제의 집전을 따라 거행하는 성만찬 예배를 의미하였다.
    여기서 성만찬 예배는 빵과 포도주를 봉헌하고 이를 예수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축성하는데 그리스도의 성육신과 십자가에서의 희생, 그리고 부활을 기념한다. 성만찬 예전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가 구속됨을 의미하며 그 구속의 결과로 교회에 성령이 임하셨음을 의미하는데 이는 세례 신자들이 예수 그리스도 자신의 몸과 피를 나눔으로써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 사역을 “실제화”하는 것이다. 또한 성만찬 예전은 교회의 코이노니아(친교)를 창조하고 양육하고 유지시킨다.
    세월이 지나면서, ‘리뚜르기아’의 의미는 예를 들어 성만찬 예전을 매일 거행하는 수도원의 관례에서 볼 수 있듯이, 일요일에 거행되는 성만찬 예배와 교제 그이상의 것으로 발전되어 갔다. Paul Meyendorff, "Liturgy," in N. Lossky etal., eds, Dictionary of the Ecumenical Movement, Geneva, WCC, 1991, 623-626; 김은수, 『예배 후의 예배』(전주 : 전주대학교출판부, 2006.), 24에서 재인용

    다음으로 예전의 순서에 대해 알아보자면 첫 번째 부분인 말씀의 예전은 그리스도의 오심과 그의 사역의 시작을 기억하게 한다. 시작을 알리는 성삼위 일체의 영광송은 그리스도가 처음부터 하나님께 자신을 헌신했고 후에는 아버지께 자신을 제물로 드리신 것과 성육신을 통해서 사람들이 처음으로 하나님은 세 위격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예전의 두 번째 부분의 핵심 요소로는 빵과 포도주의 축성 의식을 들 수 있다. 이 축성 의식은 예비 제단과 (성만찬) 제단에서 이루어진다. 축성을 위해 빵과 포도주를 준비하는 것은 그리스도의 고난과 죽음을 의미한다. 이 봉헌 준비예식은 그것 없이는 인간 구원이 불가능했던, 그리스도의 연약함을 드러내는 그리스도의 희생사건을 기념한다.

    참고 자료

    없음

    태그

    독서보고, 정교회, 신학, 예전, 선교

     

    해피캠퍼스에서 다운로드 받기!!!

    http://www.happycampus.com/doc/11638817